미국 뉴욕 증시는 16일(현지시간) 주요 지수들이 일제히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전일 미·중 무역 합의 기대감과 9월 금리 인하 전망에 따른 상승 기조가 이어지지 않은 모습이다. 특히, 시장의 이목은 곧 개최될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집중되고 있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 산업 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55포인트(0.27%) 하락한 4만5757.9로 마감했으며,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는 8.52포인트(0.13%) 떨어진 6606.76으로 정리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14.79포인트(0.07%) 밀려난 2만2333.959로 장을 마쳤다.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하루 뒤 발표될 Fed의 금리 결정이다. 고용지표 부진으로 Fed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발표한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Fed가 현재 연 4.25~4.5%인 기준금리를 9월에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6%로 전망하고 있다.
추가로, 금리에 대한 향후 방향성을 제시할 점도표 공개와 제롬 파월 Fed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해임을 시도했던 리사 쿡 이사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인 스티븐 미란 이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최근 워싱턴D.C.의 연방순회 항소법원은 쿡 이사가 소송 진행 중에도 Fed 이사직을 유지할 수 있다는 판결을 내렸으나, 백악관은 이에 불복해 상고할 계획을 밝혔다. 향후 금리 결정 과정에서 위원들 간의 서로 다른 의견이 충돌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들은 긍정적이었다. 미국 상무부의 보고에 따르면, 8월 소매판매는 7320억 달러로 전월 대비 0.6% 증가하여 블룸버그의 예상치(0.2%)를 큰 폭으로 초과했다. 또한, 지난 7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기존 0.5%에서 0.6%로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4월과 5월에 기록된 감소세 이후 6월부터 이어진 소비 회복세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금리 인하 속도를 놓고는 논란이 예상된다. 트레이드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 시장 전략 수석은 “고용 시장이 악화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이 Fed의 금리 인하 결정을 저지하지는 못하겠지만, 장기적으로 통화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모건스탠리 웰스 매니지먼트의 엘렌 젠트너 매니징 디렉터 또한 “미국 소비자 심리가 긍정적”이라며 “경제에 좋은 소식이지만 Fed의 금리 인하 강도에 대한 논쟁이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하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각 회담이 점차 생산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중국 측에서도 무역 합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오는 11월 미·중 간 ‘관세 휴전’의 종료 전에 추가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며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