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기술주 하락에 S&P·나스닥 동반 하락…FOMC “인플레가 더 큰 위험”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들이 20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하였다. 기술주가 이틀 연속 하락하며 S&P500과 나스닥 지수를 끌어내리기도 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고평가 논란이 제기된 중소형 기술주가 약세를 보였다. 이날 발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는 금리 인하에 대한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확인되었다.

이날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16.04포인트(0.04%) 상승한 44,938.31에 거래를 마쳤으나, S&P500 지수는 15.59포인트(0.24%) 내린 6,395.78, 나스닥 지수는 142.095포인트(0.67%) 하락한 21,172.857로 장을 닫았다. 특히, S&P500 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나스닥은 2거래일 연속 약세를 면치 못했다.

많은 투자자들이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와 기술주에서 차익을 실현했고, 인공지능(AI) 열풍이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매도세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 주식 중 엔비디아는 0.14% 하락했으며, AMD는 0.81%, 브로드컴은 1.27% 각각 떨어졌다. 주요 기술주 역시 약세를 면치 못했으며, 애플은 1.97% 하락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알파벳 역시 각각 0.79%와 1.14% 떨어졌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는 0.5%, 테슬라는 1.64% 하락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캐럴 슐라이프 수석 시장 전략가는 “기술주는 4월 초 저점에서 80% 이상 상승하는 놀라운 추세를 보였다”며 “따라서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는 것은 예측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8월은 거래량이 적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기존 펀더멘털과 상관없이 시장이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의 위원들이 금리 인하가 시기상조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과 고용 하락 위험 모두를 강조했으며, 대다수가 인플레이션 상승을 더 우려스러운 위험으로 간주했다”고 밝혔다. 우리에게는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과거 30일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연 4.25%에서 4.5%로 동결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또한 일부 위원들은 고용 하락 위험을 가장 중요한 위협으로 보고, 이는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목소리를 대표하는 미셸 보먼 Fed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의 관점임을 나타냈다. 다가오는 22일 제롬 파월 Fed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은 시장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발언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줄 것인지, 아니면 매파적 발언으로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주목된다.

한편, 투자자들은 대형 유통 업체의 실적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타깃은 2분기 매출 감소 소식과 새로운 CEO 발표 이후 주가가 6.33% 급락했다. 반면, 로우즈는 시장 예상을 초과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0.85% 상승했고, TJX 컴퍼니즈는 호실적 발표와 함께 연간 주당순이익(EPS) 전망을 상향 조정하여 2.71% 상승했다.

국채 금리는 보합세를 유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