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21일(현지시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잭슨홀 연설이 임박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의 부진한 실적도 투자 심리를 끌어내리고 있다. 한편, 이번 주는 여름 휴가철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의 주가 랠리로 인해 시장의 경계감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오늘 오전 10시 43분 기준 다우지수는 152.11포인트(0.34%) 하락하며 44,786.2를 기록하고 있다. S&P 500 지수는 17.29포인트(0.27%) 내린 6,378.49에 거래 중이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또한 43.264포인트(0.2%) 하락하며 21,129.593에 머물고 있다.
중요한 종목으로는 월마트가 4.18% 급락하며 주목받고 있다. 월마트는 2분기 매출에서는 예상치를 초과했으나, 이익이 2022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해 급격한 매도세가 이어졌다. 특히 두 차례 연속 약세를 기록한 기술주들 또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애플은 0.35% 내리고, 메타는 1.22%, 테슬라는 0.27% 하락 중이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소폭 상승하여 0.3%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파월 의장의 발표가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의 연설에서는 경제 전망과 향후 금리 방향에 관한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며,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와 그에 대한 기존의 신중한 입장을 어떻게 조율할지가 관건이다. 특히 정부의 금리 인하 요청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강조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전에 발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는 금리 인하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과 고용 둔화 위험 모두를 우려하며, 인플레이션 위험을 더욱 크게 평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참석자들은 고용 둔화의 위험을 가장 중대한 위협으로 보고 내부적으로 의견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다.
트레이드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 글로벌 시장 전략 수석은 “Fed는 기업들이 세금을 소비자에게 전가해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며 “의사록은 파월 의장이 이전 회의에서 보인 매파적 발언과 일치하는 모습”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잭슨홀에서 강세론자들에게 실망을 안기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슈미트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당장 금리 정책을 조정하려면 매우 확실한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9월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견지했다. 그는 “8월 물가와 고용 지표를 확인한 후에 금리에 관해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인플레이션이 2%보다 3%에 가깝다는 점도 강조하며,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덧붙였다.
동시에 노동시장의 둔화 신호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3만5000건에 달하여 두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인 22만6000건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한편,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 역시 기준치를 초과하여 197만2000건을 기록하며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