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지수 선물 500포인트 급등, 트럼프 “파월 의장 해임 계획 없다” 밝혀

[email protected]





미국 증시가 다시 활기를 띠면서 다우 지수 선물이 500포인트 이상 급등했다. 이날 저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인 제롬 파월을 해임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안도하며 선물 거래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S&P 500 선물은 1.6% 상승했고, 나스닥 100 선물도 1.8% 뛰어올랐다. 다우 산업평균지수 선물은 537포인트, 즉 1.4%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월요일, 그가 파월을 “주요 패자”라며 비난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파월 의장은 2026년 5월까지 중앙은행의 수장을 맡게 된다. 선물 시장의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외에도 재무장관 스캇 베센트의 발언에 힘입은 바가 크다. 베센트 장관은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긴장을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JPMorgan Chase가 주최한 투자자 회의에서 “현재의 상황이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이번 주식 시장의 상승은 최근 4일간의 하락세를 마감하며 고무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다우 지수가 1,000포인트 이상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개선됐다. 그러나 이번 상승에도 불구하고 안전자산으로 판단되는 투자자들의 행동은 여전하다. 금 선물 가격은 4월 한 달 동안 8% 이상 상승하며 현재 온스당 3,419.40달러로 마감했다. 해리슨 금융그룹의 제이미 콕스 매니징 파트너는 “현재 금에 숨겨진 자금이 많다”며 “그 자금은 언젠가 시장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몇 주간 투자자들은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는 추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90일간의 관세 중단 조치에도 불구하고 145%의 높은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에 중국은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로 인해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경계가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전반적으로, 주식 시장은 향후 무역과 경제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악재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시장의 방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