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증시의 대표 지수인 닛케이225 평균 주가는 지난달 9월의 한 달 동안 7,478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닛케이지수는 마지막 거래일인 9월 30일에 52,411로 마감하며, 월간 상승률은 16.6%에 달했다. 이는 1976년 이후 월간 상승률 기준으로 두 번째 높은 수치이며, 역사상 최고치는 1990년 10월의 약 20%였다.
이번 증시 상승의 주된 이유는 통화 완화 정책을 추진해온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적극 재정을 주장해온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집권과 관련이 깊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4일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후, 첫 국회 소신 표명 연설에서 ‘강한 경제’를 강조하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방위비 예산 목표를 2년 앞당길 것임을 발표했다. 이러한 정책 기대감은 특히 해외 투자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닛케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10월 첫 주부터 4주간 총 3조 엔 이상의 주식을 순매수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닛케이지수는 주요 20개국(G20) 대표지수 중 아르헨티나(58%)와 한국(20%)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는 다카이치 총리의 경제 정책에 대한 시장의 신뢰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하지만 엔화가치의 하락은 여전히 시장의 우려를 낳고 있다. 가타야마 사쓰키 재무상은 지난달 31일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환율 시장의 과도한 변동과 무질서한 움직임에 대해 높은 긴장감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엔·달러 환율은 같은 날 한때 달러당 154엔대로 급등하며 엔화가 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이러한 발언은 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도 통화 가치 하락과 같은 불확실성 요소들은 향후 일본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다카이치 총리의 정책이 실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일본 시장에 대한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