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미술관에서 자원봉사자, 작품을 실수로 훼손

[email protected]



대만 지룽시의 한 미술관에서 자원봉사자가 전시 중인 예술 작품의 표면을 실수로 닦아내어 훼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를 입은 작품은 대만 예술가 천쑹즈의 ‘먼지 묻은 거울’이라는 설치작품으로, 작품의 표면은 의도적으로 먼지가 덮인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이 사고는 지난 4일, 현대 미술 특별전이 개최 중인 지룽미술관에서 일어났다. 자원봉사자는 작품을 순찰하는 과정에서 거울 표면에 있는 먼지를 오염물질로 착각하고 화장지로 닦아냈고, 이 행위가 결국 작품의 훼손으로 이어졌다. 기본적으로 이 설치작품은 건축 자재와 가정용품을 활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작가는 먼지와 얼룩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서 인간의 지속성과 변화를 상징하고 중산층의 문화적 의식을 반영하길 원했다.

미술관 직원들은 자원봉사자가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신속히 제지했지만, 이미 손상된 상태였다. 문화관광국은 작가와 미술관 전시 기획팀에 즉각 사과하며, 향후 조치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복원 작업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보고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실수로 인한 훼손조차 작품의 일부일 수 있으며, 관객의 해석에 따른 새로운 메시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화관광국은 “작가에게 충분한 사과를 드려도, 그의 창작 활동에 가해진 피해를 완전히 보상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작가와 피해 후속 처리 방안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직원 및 자원봉사자에 대한 예술 작품의 보존 및 인식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불행하게도, 전시 중인 작품이 실수로 훼손되는 사건은 드물지 않다. 2021년에는 서울 송파구에서 열린 한 전시에서 관람객이 5억원 상당의 그래피티 작품에 물감을 뿌려 훼손한 사건이 있었다. 이 커플은 작품 앞에 놓인 붓을 사용해 작품에 물감을 뿌렸고, “낙서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2023년에는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바나나 작품이 한 관람객에 의해 훼손되기도 했으며, 이 관람객은 배가 고팠다는 이유로 벽에 붙은 바나나를 먹고 껍질을 다시 붙여 놨다.

이번 사건은 예술 작품의 보존과 관람자의 인식 문제를 다시 한번 환기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향후 미술관과 자원봉사자 간의 교육 및 협업이 한층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