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정부, TSMC의 반도체 100% 관세 면제 발표

[email protected]



대만의 국가발전위원회(NDC) 류징칭 위원장은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반도체 100% 관세에서 면제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TSMC가 미국 내 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대만의 주요 수출 기업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류 위원장은 의회 브리핑에서 “TSMC는 대만의 주요 수출기업으로, 미국에 공장이 있으므로 이번 관세에서 면제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일부 대만 반도체 업체들은 이번 관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들의 경쟁자들도 동일한 관세를 적용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대만이 반도체 산업에서 선두주자인 만큼, 경쟁자들과의 조건이 같아져도 TSMC가 우위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낸 것이다.

TSMC는 미국에 1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를 약속한 바 있어, 대만은 이번 관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에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류 위원장은 이 20% 관세는 임시적인 조치로, 두 나라 간의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6일에 반도체에 대해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자, 대만산 반도체 수출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AI 칩을 주로 생산하는 엔비디아가 대다수의 칩을 TSMC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만산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이 기업은 물론 미국의 다른 대형 기술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대만은 세계에서 생산하는 반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급 칩의 경우 대부분이 대만에서 제조되고 있다. 이는 대만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어, 관세가 적용될 경우의 파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의 미래가 크게 좌우될 것이란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따라서, 대만 정부는 이번 관세의 영향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중단기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 밝혔으며, TSMC와 같은 대기업의 대응이 향후 대만 반도체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