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업체인 TSMC와 삼성전자에 지급하는 보조금을 바탕으로 지분 인수를 요구할 수 있다는 보도에 대해 “해당 가능성에 대비해 추가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의 경제부 장관 궈즈후이(郭志惠)는 최근 국회 경제위원회 출석 전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TSMC의 상황 파악과 관련된 논의를 제출하였다.
궈 장관은 TSMC 및 글로벌웨이퍼스 모두 미국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미국이 지분 참여를 요구할 가능성에 대비해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는 또한, 미국 정부가 TSMC의 지분을 확보하고 이사회에 진입하거나 경영에 간섭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러한 파급 효과에 대한 확인과 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미국 정부가 TSMC의 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제부는 또한 TSMC의 최대 주주인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와 함께 미국의 기업 지분 투자 구상과 이에 대한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반도체 지원법에 따라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는 기업들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인 인텔에 지원금을 제공하는 대가로 10%의 지분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는 TSMC, 마이크론, 삼성전자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궈 장관은 이와 같은 투자가 중국 정부의 기업 지분 보유 방식과 유사하다고 지적하며, 오랫동안 이를 반대해온 미국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같은 대형 민간 기업에 국영펀드나 당 관계 기관이 지분을 확보하거나 특수의결권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에너지, 금융, 통신, 인프라 등 주요 산업에서도 직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구조로 나타난다.
자유시보의 보도에 따르면, TSMC는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즉시 사용 가능한 현금성 자산이 2조 3600억 대만달러(약 108조 300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따라서 TSMC는 66억달러(약 9조 2000억원) 규모의 공장 설립 보조금이 없어도 미국 내 공장 건설에 문제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국 정부는 외신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 인텔사와 같은 보조금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 기업은 아직 보조금을 받은 사례가 없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TSMC와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의 지분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미중 간의 기술 및 경제 갈등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