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이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대만해협 상황 속에서 드론 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6년간 총 442억 대만 달러, 약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대만 행정원은 최근 경제부가 제출한 ‘드론 산업 발전 총괄 프로젝트’를 승인하며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만을 2030년까지 ‘드론의 민주 공급망 아시아 센터’로 조성하겠다는 비전 아래 추진된다.
현재 대만에는 약 250개의 드론 제조 업체가 있으며, 지난해 드론 산업의 총생산액은 약 50억5000만 대만 달러에 달했다. 대만 경제부는 2030년까지 이 생산액을 400억 대만 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만은 자주 국방을 강화하고, 국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위한 국제 협력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미국, 일본, 체코, 폴란드 등과의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공급망의 자주성을 높이고 관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더욱이 대만은 드론의 연구 개발(R&D) 센터와 생산시설, 테스트센터 설립을 위해 국방부 및 교통부와 협력하고 있다. 허진창 경제부 차장은 이번 드론 산업 프로젝트에 군사적 목적의 무인 보트와 수중 드론 관리도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투자와 개발은 대만이 민간용 드론을 유사 시 군사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는 갈수록 강력해지는 중국의 군사력에 대응하기 위한 비대칭 전력 구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군사용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된 예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드러난 저비용 고효율 군집 드론의 전투력이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드론을 이용하여 러시아 본토 깊숙이 침투해 전투기를 파괴한 사례는 드론이 현대 전쟁의 유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만은 자국의 드론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이 기술적 발전을 통해 더 강력한 방어력을 갖추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대만의 드론 산업 육성 계획은 단순한 군사력 강화뿐만 아니라,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주적인 경제 체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대만과 주변 국가 사이의 군사적 및 경제적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