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의 소유권과 가치가 점점 더 중요해지는 가운데, 웹3가 데이터 주권을 통해 인터넷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제이 장 시안교통-리버풀대학교 교수는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 X 웹 3.0 컨퍼런스’에서 ‘데이터 주권과 웹3.0: 데이터 가치 해방의 열쇠’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하며,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와 그 가치를 소유하는 데이터 주권이 웹3 시대의 기초라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의 진정한 소유자는 사용자 자신임을 명확히 하며, 웹3는 이러한 원칙을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데이터가 예측 및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머신러닝의 발전을 통해 “가치 있는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데이터의 소유권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가치를 누가 가져가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핵심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그는 원칙적으로 데이터 생성자가 데이터의 소유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장 교수는 웹2의 한계를 짚으며, 그 구조가 사용자 데이터가 기업의 수익원으로 전환되는 불합리함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표면적으로 사용자들은 무료 서비스를 받는 듯하지만, 사실은 자신의 데이터를 통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는 지적은 많은 공감을 자아냈다. 그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약관 동의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구조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이제는 탈중앙화, 데이터 소유권, 디지털 자산 보유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웹3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암호화폐와 투기로 한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웹3를 “투명한 규칙 기반의 탈중앙 인터넷”으로 정의하며, 웹3의 운영이 커뮤니티의 합의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디지털 거버넌스를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웹3.0’과 ‘웹3’는 모두 차세대 인터넷을 지칭하는 용어로 혼용되고 있으나, 장 교수는 전자가 웹 발명가 팀 버너스리가 제안한 ‘의미 기반 웹’을 가리킨다면 후자는 데이터 소유권을 중시하는 진화된 형태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주권이란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통제하며 활용할 수 있는 권리로, 이는 모든 가치 창출을 위한 기반이 된다.
데이터 주권을 실현하기 위해 블록체인, 탈중앙화 신원(DID), 스마트 컨트랙트, AI 기반 신뢰 시스템 및 암호화폐 지갑과 같은 기술 스택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장 교수는 블록체인과 데이터 기술의 발전이 이제는 데이터를 “디지털 금”으로 여기는 상황을 만들었다고 설명하며, 이는 디지털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강조했다. 기존 인터넷 모델이 해결하지 못했던 데이터 소유와 가치 분배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며, 이는 웹3로의 발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블록체인과 웹3 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신뢰 사회의 미래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 주관하였다. 전통 금융기관, 블록체인 기업, 그리고 학계의 전문가들이 스테이블코인, AI, DID, 실물자산 토큰화 등의 다음 세대 인프라와 관련된 전략을 논의하며 신뢰 기반의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