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동물원, 반려동물 기증 요청에 논란 일어”

[email protected]



덴마크 북부에 위치한 오르보르 동물원이 생을 마감하거나 더 이상 함께하기를 원치 않는 반려동물을 기증해 달라는 요청을 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이 동물원은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어떠한 사유로든 삶의 끝에 이른 동물을 기꺼이 수용하며, 기부된 반려동물은 훈련받은 직원이 ‘부드럽게 안락사’ 시킨 뒤 포식동물의 먹이로 사용할 것”이라는 내용을 게시했다.

오르보르 동물원은 기부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록으로 기니피그, 토끼, 닭, 그리고 어깨 높이가 147cm 이하인 작은 말 등을 명시하며, 이 동물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에 처해 있음을 강조했다. 이들 동물은 모두 오르보르 동물원의 포식 동물들, 즉 사자, 호랑이 및 유라시아 스라소니와 같은 다양한 맹수들의 먹이가 될 예정이다.

또한 동물원은 기부된 동물이 사육환경에서 자연적인 요소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는 각종 방안을 제시하며, 기념과 효율성을 위해 기부받은 동물의 무게에 따라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말을 기증하는 경우는 공식 문서로 등록된 정보와 더불어 최근 30일 내에 질병 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이러한 동물원 정책에 대해 누리꾼들의 반응은 분분하다. 어떤 이는 이 조치를 덴마크가 동물에 대한 무관심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비판하고, 반면 또 다른 이들은 “자연의 법칙에 따르는 행위”라느니, “비판하는 사람들이 육식하는 것과 모순”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기부 절차가 전문적이라는 경험을 나눈 누리꾼도 있다.

논란이 확산되자, 동물원 측은 “이 방식을 통해 우리가 동물의 자연적인 먹이사슬을 따를 의무가 있음을 강조하며, 소형 가축이 포식 동물의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먹이가 야생에서 자연적으로 사냥될 법한 먹잇감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덴마크의 동물원 운영 방식이 지난 여러 해 동안 논란이 되어온 만큼, 특히 2014년 코펜하겐 동물원이 건강한 어린 기린을 안락사시킨 사건은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이 동물원을 포함해, 유럽의 동물원들은 동물의 자연 본성을 존중하기 위해 번식을 허용하고 있으며, 과잉 개체는 안락사시켜 관리하는 방식을 점점 더 차용해가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미국 동물원들이 피임을 통해 동물의 번식을 통제하는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정책들 속에서 오르보르 동물원의 이번 기부 요청은 생태적 균형과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