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스타트업,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업 문화로 주목받다

[email protected]



덴마크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창업의 자유와 실패를 경험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업사이트의 임강후 대표는 “덴마크에서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스타트업을 시도하고 끝내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전하며, 이는 많은 창업자들이 경험한 실패를 바탕으로 다시 새로운 스타트업에 도전할 수 있게 만든다.

최근 덴마크 산업통상부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덴마크 스타트업의 5년 생존율은 36%로, 이는 스웨덴(63%), 핀란드(48%), 노르웨이(37%)보다 낮은 수치다. 그러나 덴마크는 높은 창업률(1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OECD 평균을 웃도는 수치다. 이러한 높은 창업률은 스타트업 생태계의 다원성과 활력을 보여준다.

덴마크에서는 매년 코펜하겐에서 스타트업 축제인 ‘테크 바베큐’가 열리고, 지난해에는 2000여 개 스타트업과 8000여 명의 참가자, 1200여 명의 투자자가 모여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기회를 논의했다. 덴마크 산업통상부는 “생존율이 낮게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창업률이 높은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창업자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장할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덴마크 내 대학 연구 기반의 딥테크 스타트업들은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덴마크공과대학교 스카이랩의 미켈 소렌센 소장은 “이 학교의 스타트업 3년 생존율은 약 61%이며, 지적재산권(IP)에 기반한 스타트업은 무려 92%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학문적 성과와 상용화 과정이 효과적으로 결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덴마크는 스타트업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2018년부터 시행된 ‘넥스트제너레이션’ 프로그램은 스타트업 운영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300명 이상의 멘토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스타트업 대표들은 동일한 경험을 공유하며 상호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만들어갔다.

덴마크 정부는 스타트업이 적자를 보더라도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있다. 의회는 ‘기업가 패키지’라는 합의서를 통해 순손실을 추후 과세소득에서 차감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를 강화하고, 비상장 포트폴리오 주식에 대한 배당세를 폐지했다. 이러한 조치는 스타트업들이 더 나은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덴마크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창업에 도전하는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더 높은 창의성과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잠재력 있는 기업들이 성장할 기회를 만들어주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