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DOGE)이 최근 다시 한 번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로빈후드(Robinhood) 지갑에서 약 2억 개의 도지코인(약 697억 원)이 갑작스럽게 외부 지갑으로 이체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대형 고래나 기관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여러 추측이 떠올랐다. 처음에는 한 대형 투자자가 도지코인을 대규모로 매입해 출금한 케이스로 해석되었으나, 이내 로빈후드 내부 지갑 간의 자금 이동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번 거래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로빈후드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았다. 블록체인 트랜잭션 추적 서비스인 웨일 얼럿(Whale Alert)도 이를 실시간으로 포착해 트위터를 통해 공개하면서, 도지코인 커뮤니티와 시장이 한때 술렁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대규모 거래는 도지코인을 둘러싼 현재의 시장 기대감을 더욱 부추겼다. 최근 2주 동안 도지코인 가격은 16% 이상 상승하여 개당 약 0.25달러(약 348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도지코인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미국 최초의 도지코인 기반 ETF인 DOJE 펀드가 조만간 출시될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DOJE 펀드는 전통적인 비트코인 ETF와는 달리 1940년 투자회사법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솔라나(SOL)의 SSK 펀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투자자들에게 도지코인 시장에 합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므로 업계의 뚜렷한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여전히 도지코인 현물 ETF에 대한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DOJE 펀드는 틈새 규제를 활용한 상품으로, 본격적인 밈코인 ETF 시대의 서막을 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로빈후드는 현재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도지코인을 보유한 플랫폼 중 하나로 손꼽힌다. 따라서 이번 트랜잭션이 단순한 내부 운영의 일환이라 하더라도 시장의 반응은 도지코인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기대의 복합적인 양상을 여실히 드러낸 셈이다. 도지코인 커뮤니티는 시장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향후 도지코인의 가격 추이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도지코인뿐만 아니라 전체 암호화폐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