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DOGE)의 최근 가격 하락세로 인해 파생상품 시장에서 이례적인 청산 불균형 현상이 발생했다. 특히 8월 초 기준, 도지코인은 일주일 동안 8.55% 하락하였으며 하루 기준으로도 3.37% 추가 하락을 기록하며, 이는 시장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이러한 하락은 선물 시장에서 공매도 포지션의 급속한 청산을 이끌어내며 심각한 청산 몰림 현상을 초래했다.
코인글래스의 자료에 따르면, 도지코인 선물 거래에서 공매도 포지션의 청산 비율은 무려 25,341%에 달했다고 분석됐다. 이는 롱 포지션 청산 대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로, 도지코인의 단기적인 가격 급락이 일반적인 추세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 시점에서 공매도 거래자들은 약 10만 6,770달러(약 1억 4,838만 원)의 손실에 직면했으며, 롱 포지션 역시 소폭 손실을 여전히 피하지 못해 전체 청산 규모는 약 10만 7,190달러(약 1억 4,869만 원)에 이르렀다.
도지코인의 최근 가격의 주요 원인은 $0.2082에서 $0.2007 수준으로 후퇴한 것에 있으며, 이와 함께 거래량 또한 13% 감소한 15억 1,000만 달러(약 2조 976억 원)로 집계되었다. 특히 $0.2040~$0.2080 구간은 최근 도지코인에서 매우 민감한 청산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구간에서 일반 투자자들은 강한 청산 압박을 받고 있는 반면, 일부 고래 투자자들은 저가 매수의 기회를 포착해 자산을 추가 매입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48시간 동안 10억 개 이상의 도지코인이 고래 지갑으로 이전되었다. 이는 한 달 간의 가장 큰 고래 축적 사례로 꼽히며, 시장이 하방 압력을 받을 때마다 고래 투자자들이 중심이 되어 반등의 신호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투자자 및 고래 집단이 일정량 이상의 도지코인을 수집하는 패턴은 일반적으로 가격 반전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또한, 도지코인은 지난주 초 거래 재개와 함께 미결제약정이 급증해 투자자들의 기분이 일부 회복되는 데 기여했다. 비록 단기 트레이더들은 손실을 겪은 상황이지만, 구조적인 자산 축적과 시장 신뢰 회복이 동시에 이뤄질 경우 중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도지코인의 시장 상황은 변동성이 크지만, 과매도 영역 속에서 고래들이 누적 매수를 진행하고 있는 점에서 하락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더욱 힘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