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도지코인(DOGE)이 11월 들어 강한 반등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금요일, 도지코인 가격은 전일 대비 4% 상승하여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같은 날 S&P 500 지수는 보합세를 이어갔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0.3% 상승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하지만 파생상품 시장의 데이터는 상승세가 점차 약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데이터 분석업체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도지코인 선물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10월 7일 50억 3,000만 달러(약 6조 7,041억 원)에서 11월 1일 기준 17억 달러(약 2조 2,634억 원)로 65% 이상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안 거래량도 204억 5,000만 달러(약 27조 2,605억 원)에서 13억 4,000만 달러(약 1조 7,854억 원)로 74% 이상 급감했다. 특히 하루 동안 51%의 거래량 감소가 있었던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약세 가운데서도 중장기 투자자들은 여전히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암호화폐 ETF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산운용사 21셰어스(21Shares)가 스팟 도지코인 ETF의 출시를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와 기관의 관심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기술적 지표에서 보면 시장은 관망세에 접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중립인 52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MACD(이동 평균 수렴 발산 지표)도 약간의 긍정 신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일각에서 ‘축적 단계’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도지코인은 여전히 주요 저항선에 갇혀 있는 상황이다. 100일 및 20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을 돌파하지 못했으며, 만약 0.18달러(약 241원) 아래로 하락할 경우 0.16~0.15달러(약 214~201원) 구간까지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만약 이러한 하락이 현실화된다면, 2025년 중 쌓아온 상승분이 대부분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도지코인의 향방은 향후 며칠 간의 흐름에 크게 좌우될 것이다. 이번 소폭의 반등이 진정한 회복의 신호인지, 아니면 더 큰 하락을 앞둔 일시적인 조정일지는 좀 더 관찰해야 할 시점이다. 현재 분위기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기관의 움직임과 기술적 지표를 고려할 때 단기보다는 중장기 투자 전략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