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현대IFC 인수 실사 진행 중에도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배경

[email protected]



동국제강이 현대IFC 인수를 위한 재무 실사 작업에 착수했지만, 인수 여부에 대해서는 깊은 고민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IFC의 인수가 현실화될 경우, 이 회사는 현대제철의 100% 자회사에서 분리되어 현대 계열에 대한 납품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동국제강은 인수전에서 발을 빼기에는 한국 철강 시장의 경쟁 구도가 힘든 상황이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다수의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동국제강은 최근 재무 실사(FDD)를 통해 현대IFC의 실체를 파악하고 있으며, 매각가는 약 3000억원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회사는 이번 M&A에서 산은인베스트먼트를 재무적 투자자로 끌어들였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인수전이 동국제강에게도 중요하지만, 재무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동국제강은 금융 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했으며, 이전 본사였던 페럼타워를 6450억원에 사들인 상태이다. 이러한 재정적 압박이 M&A에 제약이 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사업적 측면에서도 동국제강은 신중을 기하고 있다. 현대IFC의 단조사업은 동국제강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업군으로, 조선업의 호황 사이클을 고려했을 때 인수 후 전체적인 사업 규모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반면, 단조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동국제강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 현대IFC는 조선용 단조제품의 연간 생산량이 11만6000톤으로, 주요 고객인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마린엔진이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경쟁자인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간 2만9000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는 현대IFC, 두산에너빌리티, 세아베스틸이 각각 연간 1만8000톤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기계 설비 분야에서는 세아베스틸이 2만6000톤으로 독보적인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동국제강이 현대IFC 인수에 나설 경우, 현대 계열에 납품하는 물량이 일부 줄어들 리스크가 존재하며, 이는 매출 안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세아베스틸, 태웅 등 경쟁업체가 현대IFC 인수전에 가세할 경우, 동국제강은 국내 철강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현대IFC는 전남 순천에 연간 제강 50만톤, 단조 14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특별한 투자 없이도 납품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동국제강은 재무적 부담과 사업적 비전 결여로 인수에 있어 심사숙고하고 있으며,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한 갈림길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국제강의 결정이 앞으로의 철강 시장에 미칠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