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미국 증시 진출 기대감에 3년 5개월 만에 주가 최고치 경신

[email protected]



비상장 기업인 두나무의 주가가 네이버의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미국 증시에 진출할 가능성에 힘입어 3년 5개월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30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지난 29일 두나무의 주가는 장중 40만5000원까지 오르며 지난 2022년 4월 22일에 기록한 40만7000원을 넘어섰다. 이 주가는 지난 25일 네이버 자회사로의 편입 소식이 전해지면서 30만원 초반대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반등하여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틀 만에 거래량이 평소의 10배 이상으로 증가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합병이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라는 소식이 본 주가 상승의 중심으로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이 두 회사의 합병 법인이 미국 나스닥 시장에 단독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가 주식 매수세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성공적인 상장이 이루어진다면, 두 회사의 단순 합산 기업가치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에서는 네이버가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네이버페이의 결제 시스템과 두나무의 블록체인 인프라인 ‘기와’를 연결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 경우 합병 법인의 시가총액이 최소 50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비교 대상으로 거론되는 미국의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현재 100조원이 넘는 시가총액을 기록 중이다.

이와 함께 두나무 주가의 급등이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주식 교환 비율 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예상되는 두 회사의 교환 비율은 대략 4대1 수준으로, 이 경우 송치형 두나무 회장(현재 지분율 25.5%)의 합병 후 지분율이 20%대를 넘어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존재한다. 두 회사는 다음 달 말 각각 이사회를 열어 주식 교환 비율과 관련한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결론적으로, 두나무의 주가 상승은 단순히 기업 가치의 반영을 넘어 향후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향후 두 회사의 움직임에 따른 시장의 반응도 주목할 만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