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2024년 3분기 실적에서 순이익이 약 2,390억 원(약 1억 6,500만 달러)으로 수치상 전년 동기 대비 4배 이상 증가하여 시장 회복세를 구체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14일 조선비즈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두나무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약 2,660억 원(약 2억 6,600만 달러)으로 전 분기 대비 35% 상승했음을 발표했다. 또한 영업이익도 약 1,620억 원(약 1억 6,200만 달러)으로 54% 증가, 순이익은 2분기와 비교해 145% 급증한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두나무는 특정 시장 환경 변화가 이번 성과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반등과 더불어 거래량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 회복이 두나무의 수익성 증대에 기여해왔다. 특히 미국의 친(親)암호화폐 관련 법안들이 통과되면서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활성화되었고 이는 거래소와 같은 디지털 자산 플랫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에서 제정된 법안 중에는 ‘지니어스법(Genius Act)’, ‘클래러티법(Clarity Act)’, ‘반중앙은행디지털화폐법(Anti-CBDC Bill)’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법안들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두나무는 이러한 변화가 매수 심리를 지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하고 있다.
덧붙여 두나무는 2022년부터 외부감사 대상 기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주주 수가 500명을 초과함에 따라 투명한 운영을 위한 감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다른 글로벌 암호화폐 기업들도 동 기간 동안 성과를 회복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채굴업체 테라울프와 싱가포르 기반 클라우드 마이닝 기업 비트푸푸는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전반적인 시장 상승세가 확인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두나무에 대한 인수 움직임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 최대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의 핀테크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 인수를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으며, 이사회 승인도 임박한 상황이다. 이는 두나무가 단순한 일회성 반등이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 회복과 더불어 글로벌 규제 완화 및 제도권 진입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한 최상급 실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결론적으로, 향후 미국의 규제 환경 변화가 한국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두나무의 성과와 미래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