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의 최적기’는 20대가 아니다…55~60세가 정점이다

[email protected]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 가장 뛰어난 시기는 55세에서 60세 사이라고 한다. 이 연구는 기억력과 정보 처리 속도는 20대 중반 이후 서서히 저하될 수 있으나, 판단력, 감정 지능, 복합적 사고능력 등은 오히려 중년기에 절정을 이룬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의 질 E. 지냑 부교수가 주도한 이 연구는 국제 저널 인텔리전스에 발표되었으며, 기존의 대규모 인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16가지 심리적 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성격 특성, 감성 지능 및 다양한 인지 능력을 포함한 이 연구는 기억 용량,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도덕적 사고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젊은 세대는 신속한 반응과 민첩성을 자랑하지만, 중년층은 감정 조절과 신중한 판단, 리더십 같은 복합적 정신 능력이 최상으로 발휘된다는 것이 드러났다.

특히 성실성은 65세에 최고조에 달하며, 정서적 안정성은 75세에 그 정점을 이루고, 인지 편향 제어력은 80대에도 여전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55세에서 60세의 연령대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 가장 조화롭게 발현되는 시기로 확인됐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통적으로 여겨졌던 “두뇌 회전의 빠르기”에 국한된 인지 능력의 측정 방식을 넘어서, 실제 사회에서 요구되는 복합적 사고력과 깊은 통찰력을 강조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지냑 교수는 “중년기는 경험, 감정 조절, 인간 이해력이 잘 결합된 시기로, 이 시기에 전략적 사고와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점이 기업, 정치, 공공기관에서 50대와 60대가 리더로 활동하는 이유를 뒷받침하는 설명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나이가 들면서 지능이 낮아진다는 오랜 통념을 반박하며, 고령자의 재취업이나 정년 연장에 관한 더 깊은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지냑 교수는 “신체적 능력은 젊은 시절이 절정이지만, 정신적 능력은 나이를 거치며 더욱 깊어지고 강해진다”며 “많은 사람들이 노화를 두려워하지만 오히려 새로운 기회가 찾아오는 시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나이와 관련된 다양한 통념을 재고하게 하며, 중년층의 가치와 능력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55세에서 60세 사이의 인구는 그들의 경험과 능력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노후 준비와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