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과 AI 열풍 과열이라는 두 가지 주요 거시경제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카이코 리서치는 비트코인을 “두 폭풍 사이에 낀 배”로 비유하며, 이 두 요인이 시장의 변동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최근 시장은 연준의 발언에 대해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단기적인 취약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2022년 이후 연준의 금리와 비트코인 가격 간의 음의 상관관계가 뚜렷해졌다. 12개월 롤링 상관계수는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이는 금리 인상이 암호화폐의 가격 하락을 초래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2020년 팬데믹 기간 중 금리 인하가 비트코인의 급등을 가져온 사례와 2022년 긴축 전환 후 비트코인의 급락 사건은 이러한 상관성을 잘 보여준다.
또한, AI 산업에서는 자본이 급속히 쏠리고 있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5조 달러를 넘어섬에 따라 기술 혁신의 정점을 상징하고 있지만, 생산보다 높은 기대치를 가진 기업들이 만들어내는 가치와 그 평가의 괴리는 투기적 버블의 징후로 간주된다. AI 테마와 관련된 암호화폐 역시 실체 없는 과열 상황이 반복되고 있어,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도 비슷한 투기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는 위기 상황에서 자산 간 상관관계의 수렴에 대한 경고를 제기한다. 평상시에는 서로 다른 경로로 흘러가던 주식 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이, 극심한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거의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AI 버블이 붕괴할 경우 기술주 중심의 증시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며, 이 충격은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암호화폐 시장에도 전이될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코의 2025년 가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이러한 위험을 강하게 시사한다.
하지만, 카이코 리서시는 비관적인 전망만을 다루지 않는다. 역사적 데이터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위기 상황에서 가장 먼저 매도되는 자산이지만, 회복기에는 다른 자산들보다 빠르게 반등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2020년 팬데믹 이후 S&P500과 나스닥이 저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정체되는 동안 비트코인은 가장 먼저 상승 궤도로 돌아섰다. 이런 ‘회복 속도와 강도’는 비트코인의 본질적인 가치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단기적인 충격은 클 수 있으나 시스템이 안정되는 순간 가장 먼저 되살아나는 자산이라는 특성은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