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와 스테이블코인 공급 증가세, 이더리움과 신규 체인 성장 뚜렷

[email protected]



최근 일주일 동안 스테이블코인의 공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히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부문에서 두드러지게 확인됐다. 25일 기준으로 아르테미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디파이 섹터에서만 16억 달러의 공급 증가가 있었으며,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증가세가 가장 뚜렷했다. 더불어 신규 체인인 플라즈마와 리네아에서도 명확한 성장세를 보였다.

각 체인별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을 살펴보면, 이더리움에서 약 26억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하며 가장 큰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플라즈마가 20억 달러, BNB 체인이 9억2980만 달러, 솔라나가 8억1940만 달러의 순유입을 보였다. 반면, 아발란체 C-체인에서는 6억3590만 달러, 트론에서 4억9140만 달러, 수이에서 1억1740만 달러 등 다양한 체인에서 순유출이 발생하며 공급 감소 현상이 관찰되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측면에서도 공급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발행사로부터의 유입은 3억5940만 달러에 달했으며, 결제 부문에서도 2억4450만 달러가 증가했다. 또한, 이자 토큰과 스테이킹 부문에서도 각각 1억1620만 달러와 3550만 달러의 상승폭을 보였다. 그러나 자산운용, 중앙화 거래소(CEX), 인프라 부문에서는 각각 11억 달러, 3억210만 달러, 2억3170만 달러의 공급 축소가 발생하며 전반적인 조정세가 이루어졌다.

스테이블코인 주간 순공급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USDT가 22억 달러라는 가장 큰 공급 증가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feUSD가 5억9700만 달러, USDe가 5억9100만 달러, USDC가 5억1900만 달러의 증가를 보였으며, PYUSD, USDF, USDS, USDG와 DAI 역시 일정량의 공급 확대가 있었다. 주요 스테이블코인에서 유입세가 지속되면서 시장 내 유동성 확대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처럼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유입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디파이 부문에서의 공급 증가가 두드러진 현재, 이더리움 및 신규 체인의 성장세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USDT의 22억 달러 유입은 다른 스테이블코인들에 비해 압도적인 수치로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이러한 활성화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와 동시에 이웃하는 다양한 경제 분야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