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프로토콜 스트림 파이낸스 붕괴, 2억 8,490만 달러 부채 발생

[email protected]



디파이(DeFi) 프로토콜인 스트림 파이낸스(Stream Finance)가 붕괴됨에 따라 약 2억 8,490만 달러(약 2,849억 원)의 부채와 스테이블코인 관련 익스포저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여러 디파이 플랫폼들이 연쇄적인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디파이 분석 그룹인 Yields and More(YAM)는 14일(현지시간)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스트림 파이낸스와 관련된 대출 시장 및 자산 금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에는 Euler, Silo, Morpho, Gearbox 등 주요 디파이 플랫폼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스트림 파이낸스가 발행한 합성 자산인 xUSD, xBTC, xETH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

부채 익스포저의 규모는 스트림 파이낸스 자체의 자산뿐만 아니라 Elixir의 deUSD, Treeve의 scUSD와 같은 다른 플랫폼의 자산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복잡하게 얽힌 파생 구조는 총 2억 8,490만 달러 상당의 미상환 부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노출된 2차 금고나 다른 대출 전략들의 수치는 포함되지 않은 결과다.

조사에서 드러난 주요 참여자들은 TelosC, Elixir, MEV Capital, Varlamore, Re7 Labs 등이며, 이들은 스트림 파이낸스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자금 운용을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TelosC는 약 1억 2,300만 달러(약 1,230억 원)의 익스포저를 가지고 있었고, Elixir는 약 6,800만 달러(약 680억 원)를 스트림 파이낸스에 대출한 상황으로, 전체 스테이블코인 담보의 65%가 연계된 상태다.

이번 사건은 디파이 생태계 내 자금 운용 구조의 파편화와 익스포저의 연결 고리를 다시 한 번 주목하게 만드는 경고라 볼 수 있다. 복잡한 스테이블코인 구조와 다양한 플랫폼 간의 교차 운용은 개별 프로토콜의 위기가 광범위한 시장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은 디파이 투자자와 프로젝트 운영자 모두에게 더욱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임을 시사한다.

최근 스트림 파이낸스의 붕괴로 인해 디파이 생태계는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특히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각 플랫폼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만큼, 한 곳의 위기 상황이 전체 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생각보다 클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디파이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