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코인과 리플(XRP) 간의 갈등 심화…조롱 트윗 논란

[email protected]



라이트코인(LTC) 공식 계정이 리플(XRP)과 그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를 겨냥한 조롱성 트윗을 올리며 두 암호화폐 커뮤니티 간의 갈등이 재점화됐다. 이 트윗은 조회 수가 70만 회를 넘기며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해당 게시물에서는 “이제 리플과 그 경영진 차례다. 기다리고 있겠다”는 비꼬는 발언이 포함돼 있어, XRP 지지자들 사이에서 항의와 분노의 반응이 쏟아졌다. 이로 인해 일부는 보유하고 있던 라이트코인을 매도하기도 했다.

이번 논란은 라이트코인 창립자 찰리 리의 과거 행위에 대한 회자를 촉발했다. 찰리 리는 2017년 암호화폐 강세장에서 자신이 보유한 대부분의 라이트코인을 매도한 바 있다. 이 결정은 당시 업계에서 신뢰 문제로 비판을 받았고, XRP 커뮤니티의 반발을 이끌어냈다. 현재 XRP 지지자들은 찰리 리의 과거를 소환하며 그의 기업가 정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라이트코인 측은 후속 게시글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기에 이른다. 이 게시물에서는 “솔라나를 조롱했을 때는 큰 웃음으로 넘어갔고, 나 자신을 풍자했을 때도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으나, XRP를 조롱하자 2일 동안 법적 위협과 왜곡된 주장이 쏟아졌다”고 밝혔다. 라이트코인 측은 이러한 반응이 소셜 미디어의 유머와 균형 감각을 잃은 과민 반응이라고 설명하며, 자신들의 입장을 강조했다.

라이트코인 재단이 해당 트윗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찰리 리가 재단의 총괄직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그에게 실무적 책임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격렬한 설전 속에서도, 라이트코인과 리플 모두 시장에서의 성과는 저조하다. 현재 라이트인의 가격은 전일 대비 1.5% 하락, 리플의 가격은 2.2% 하락하는 등 가격 흐름이 부정적이다. 이처럼 감정이 격해진 설전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업계에서 커뮤니티 간의 충돌은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이번 사태는 프로젝트의 브랜딩과 커뮤니티 전략 측면에서 중요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유머가 오히려 커뮤니티를 자극해 브랜드 리스크로 확대될 경우, 결국 시장 신뢰가 손상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