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가 메신저 ‘맥스’ 강제 설치…서방 SNS는 퇴출할 예정

[email protected]



러시아 정부가 9월부터 모든 스마트폰 기기에 국가공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앱인 맥스(MAX)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왓츠앱(WhatsApp)과 같은 서방국가의 SNS를 퇴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 조치는 러시아의 전시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반정부 정치인과 언론인들의 SNS 활동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습니다.

맥스 앱은 러시아 최대 SNS 그룹인 브콘탁테(VK)가 개발한 메신저로, 올해 5월 러시아 정부의 국가공인 앱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정부는 군인, 공무원, 학교 교사들에게 맥스 사용을 강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맥스는 이미 베타 테스트 단계에서 200만 이상의 사용자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법안은 원래 7월 1일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베타 테스트 등의 준비 사유로 9월로 연기되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맥스 설치 의무화와 함께 서방 SNS 메신저의 사용도 제한할 방침입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90% 이상 사용되는 메신저인 왓츠앱의 사용이 9월 1일부터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왓츠앱은 메타(Meta) 소속으로, 러시아 당국은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대한 사용 금지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 하원은 VPN을 통해 극단주의 매체나 사이트에 접근할 경우 최대 5000루블(약 8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정보 자유를 추구하며 VPN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또 다른 통제 수단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러시아의 국민 메신저로 불리던 텔레그램에 대한 제재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 경찰은 텔레그램을 통해 활동하던 유명 블로거들을 구금하며, 이들의 계정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텔레그램은 한때 러시아군의 작전 지시에도 사용되었으나, CEO 파벨 두로프의 체포 이후 제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부정적인 특성을 이유로 텔레그램 사용에도 제약이 커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러한 조치는 반정부 정치인과 언론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맥스 사용자가 증가하여 텔레그램을 완전히 대체할 경우, 텔레그램의 사용이 전면적으로 금지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외에서 망명 중인 러시아 정치인과 언론인들의 정보 공유와 소통을 심각하게 방해할 수 있는 상황으로, 러시아 인터넷의 생태계가 큰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