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드론, NATO 방어선 침입…사거리 논란 심화

[email protected]



최근 러시아의 무인기(드론)가 NATO 회원국인 폴란드와 루마니아의 영공을 잇따라 침범함에 따라 유럽 내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10일, 러시아 드론 19대가 자국 영공을 침입했다고 주장하며 경고를 발동한 바 있다. 이후 폴란드군은 전투기와 방공 시스템을 동원해 이 중 4대를 격추했다. 이러한 사건에 대해 러시아는 해당 드론이 최대 700km의 사거리를 가진 모델이라며, 폴란드 영공까지 도달할 수 없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와 폴란드는 오히려 이러한 드론의 침입이 의도적인 군사 도발이며, 드론이 추가 연료탱크와 재밍 방지 레이더 등을 장착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최대 사거리 주장을 반박하기 위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드론이 실제로 군사 정찰 목적의 도발로 보내졌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NATO는 비상 대응 조치를 단행했고, 추가 병력 파병을 승인하는 등 각국이 군사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프랑스와 독일, 덴마크는 나토의 지원을 통해 다양한 전투기를 제공하며 폴란드의 방어 능력 강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특히, 폴란드 동부 지역은 비행금지구역으로 선포되었으며, 이는 지역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발발은 우크라이나와의 갈등이 잦아드는 가운데 추가적인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자국 영공이 위험에 처해있다는 우려 속에서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영공을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과 NATO의 논의에서 또 다른 논란을 일으킬 요인이 될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됨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시도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게 되면, 이는 NATO와 러시아 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우려가 앞서고 있다.

현재 러시아에서는 드론 침공 사건을 간과해 ‘실수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NATO와 그 회원국들은 철저한 준비 태세를 유지하며 스스로의 방어망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복잡한 군사적 상황 속에서 각국의 이해관계와 감정이 얽히며 앞으로의 전개 방향이 주목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