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이 4년째 이어지면서 러시아의 전사자 수가 급증하여 연간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 정부의 인구 통계 공개가 중단되며 인구 감소의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2022년부터 이어진 전쟁의 여파로, 지난해 러시아의 사망자 수는 182만 명에 달하고 출생아 수는 122만 명에 그쳐, 사망자가 무려 60만 명 이상 초과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현재 러시아의 출산율도 심각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출산율은 1.40명으로, 2016년의 1.76명에서 크게 낮아진 수치이다. 이는 옛 소련 붕괴 직전인 1989년의 2.01명과 비교할 때 현저히 떨어진 수치로, 출산율 감소가 지속될 경우 심각한 인구 구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철저한 사망자 수 은폐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인구 감소 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통계청은 올해 1분기 이후로 인구 통계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으며, 알렉세이 락샤 인구학자는 “2025년부터 공식 통계는 거의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에 대규모 징집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방 및 전선에서 투입된 남성들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출산율의 추가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러한 중대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러한 대책들이 효과를 거둘지는 의문이다. 중학생 이상 여학생이 임신할 경우 지급되는 10만 루블의 일시금, 학교 내에서의 출산 관련 배려 프로그램, 직장 내 출산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조치가 시행되고 있지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질지 알 수 없다.
또한, 정부는 무자녀세금 도입 및 자녀 없는 생활을 사회적으로 비난하는 법안들을 내놓고 있으며, 병원과 약국에서의 피임약 판매를 줄이고 심지어는 직장 내 성관계를 장려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강제적인 저출산 극복 정책이 사회적 비판의 십자가를 지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의 인구 구조 변화와 저출산 문제는 단순히 정책의 문제를 넘어, 국가의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