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8일 일본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5500억 달러를 손실 위험이 거의 없는 미국 인프라 프로젝트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대미 투자의 핵심 분야가 발전소와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사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첫 번째 프로젝트는 전력 인프라 분야에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의 전력 및 조선 관련 대기업 10~12곳이 이미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 검토에 착수했으며, 연내에 1호 사업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과 미국이 지난 7월 5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프레임워크를 설정했으나, 첫 사업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이유로 일본 기업들이 투자와 회수 구조의 불확실성을 지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5500억 달러라는 큰 규모는 일본국제협력은행(JBIC) 등 정부 계 금융기관이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하며, 이는 민간 기업의 독자적인 투자가 아닌 일본 정부와 미국 정부의 협력에 기반한 경제 안보 목적의 프로젝트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하여 러트닉 장관은 투자 사업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양국이 분배하도록 설계해, 일본 측은 원금과 이자를 전액 회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것이라 밝혔다.
또한, 이번 투자에서 알래스카의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도 중요한 대상으로 언급되었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이 참여함으로써 LNG 인수권을 확보하여 에너지 자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을 표했다. 그는 전체 5500억 달러 중 절반 이상이 전력 및 에너지 개발에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비자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는 상무부 차원에서 관련 규제를 완화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일본 기업들이 공장 건설이나 직원 교육을 위해 미국에 입국하고자 할 경우 상무부가 직접 비자를 발급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는 일본 기업들이 비자 문제로 인해 느꼈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실행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의도로 평가된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에 대한 기본 세율을 15%로 유지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미국과 일본 간의 합의된 반도체 및 의약품 분야의 최저세율 유지 원칙을 재확인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그는 중국의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공급망 불안이 커졌음을 감안, 미국과 일본의 희토류 공급망 동맹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는 미·일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가능성을 나타내며, 일본과의 경제 협력을 위한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