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월, 암호화폐 시장은 많은 변화를 겪으며 ‘레드 옥토버’라는 불명예스러운 시기를 맞이했다. 이달은 2018년 이후 처음으로 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트렌드와 기회가 발견되었다. 바이낸스(Binance)의 월간 보고서는 이러한 흐름을 분석하며 11월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주요 이슈를 정리했다.
10월 10일 하루에만 약 190억 달러(약 25조 6,393억 원)의 청산이 이뤄지며 과도한 레버리지 거래가 정리되었다. 이러한 청산 여파와 미국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결정이 겹치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7년 만에 처음으로 6.1%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전체 시가총액은 감소했지만, 비트코인(BTC)의 시장 점유율은 59.4%로 증가했고, 이더리움(ETH)은 소폭 하락하여 12.6%를 기록했다. 기관 투자자들은 알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ETF의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특히 이더리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프라이버시 중심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이번 달 강력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트랜잭션 수 기준으로 가장 많이 거래된 세 개의 프라이버시 체인은 거래량이 30%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지캐시(Zcash)는 일일 거래 수가 160% 급증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더리움 또한 영지식증명(zk) 기술을 활용하여 프라이버시 기능을 통합할 계획이 있다.
바이낸스 리서치팀은 “프라이버시 중심의 솔루션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며, 기술적 발전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HTTP 402 코드 기반의 개방형 결제 프로토콜인 ‘x402’에 대한 관심도 상승하며, 하루 트랜잭션 수는 72만 건을 초과했다. 구글과 클라우드플레어의 통합이 이 프로토콜의 채택 속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11월에는 AI 트레이딩 테스팅이 주목받고 있다. 이 실험은 예측 정확도보다 리스크 관리 규율이 성공의 더욱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AI 기반의 자율 결제 시스템의 효과성을 증명하는 사례로 언급되고 있다. 현재 바이낸스는 ‘투기적’ 요소와 ‘구조적’ 요소라는 두 가지 주요 내러티브를 제시하고 있다. 밈코인 중심의 민팅 흐름이 전자를 설명하며, AI 기반 결제 활용이 후자를 나타낸다.
앞으로의 시장 분위기는 연준의 양적 긴축 종료 여부 및 미·중 간 무역 긴장 완화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12월 시장에 긍정적인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1월의 결과가 어떻게 끝날지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핵심 시그널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