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는 전통적인 자산 배분 전략인 60/40 비율을 강하게 비판하며,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같은 디지털 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인 기요사키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규칙을 “죽은 공식”이라고 표현하며 금, 은, 그리고 암호화폐가 대안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60대 40 공식은 포트폴리오의 60%를 주식, 40%를 채권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안정적인 수익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투자 지침으로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기요사키는 이 모델이 최근의 국가 부채 증가와 같은 거시경제적 리스크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강조하며, 오히려 투자자의 재산을 위험에 처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그는 특히 1971년의 금본위제 폐지를 전환점으로 삼아, 그 이후 달러가 ‘가짜 돈(fiat money)’으로 전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채권은 정부의 부채이며, 사실상 파산한 국가의 신용에 의존하는 위험한 자산”이라고 비판하면서, 더 이상 전통 자산에 대한 신뢰를 갖기 어렵다고 밝혔다. 기요사키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모건스탠리의 60/20/20 모델도 언급했다. 이 모델은 자산의 60%를 주식, 20%를 채권, 그리고 나머지 20%를 금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대체되며, 그는 “금은 수년간 주식과 채권보다 우수한 수익률을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기요사키는 금과 은을 넘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이들 자산이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실질적 가치를 지닌 투자 대안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기요사키는 “오랜 시간 동안 금융 전문가들이 마법의 도구처럼 60/40 비율을 강조했지만, 이젠 그 허구가 드러났다”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최근 기요사키는 달러의 가치 하락을 경고하며 디지털 자산의 채택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였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오래된 금융 시스템을 맹신하지 말고, 각자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투자 전략을 세울 것을 조언했다. 다만 디지털 자산이 단기적으로 상당한 가격 변동성을 함께할 수 있다는 점은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기사 작성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만 2,396.33달러(약 1억 6,870만 원)로 24시간 전보다 1.13% 하락했고, 거래량은 584억 4,000만 달러(약 81조 2,160억 원)로 28.49% 감소했다. 이더리움은 4,343.70달러(약 604만 원)로 3.21%의 하락세를 보였다.
기요사키는 마지막으로 “현재 금융 환경은 정부의 부채와 취약한 법정화폐 체계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를 탈피하기 위해 실물과 디지털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전통적인 투자 관념에 대한 도전이며, 금융 시장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