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기요사키, “비트코인(BTC)은 진정한 화폐… 교육 시스템은 가짜 머니 세뇌”

[email protected]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비트코인(BTC)을 진정한 화폐로 평가하며 정부 발행 화폐의 문제점을 재차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교육 시스템이 학생들을 가짜 돈을 위해 일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이를 범죄에 비유하기도 했다.

기요사키는 최근 비트코인 콜렉티브의 공동 창립자 조던 워커가 진행한 팟캐스트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계속해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는 이유는 진짜 돈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내 ‘가난한 아빠’처럼 대학교수들이 아이들을 무비판적으로 ‘가짜 돈’을 위해 일하게 세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 한국 사회에서 경제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발언이기도 하다.

그는 이어 “학교에서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며 절약한 후에 결국 형편없는 투자 상품으로 가득한 401(k)에 돈을 넣는 것이 우리가 배워야 할 방식이냐”며 기존 금융 시스템의 허점을 지적했다. 기요사키는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법정 화폐에 의존하는 것은 진정한 부의 축적을 방해하며, 비트코인(BTC)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비트코인에 대한 기요사키의 지지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는 평소에도 금, 은과 같은 실물 자산 및 탈중앙화된 대안 자산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를 표명해왔다. 그는 현 금융 시스템이 대중에게 제대로 된 자산 축적 방법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많은 국민이 불안정한 경제 상황에서 방치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기요사키의 시각은 공감을 얻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트코인(BTC)과 같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요사키의 발언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기존 자산 투자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경고로 해석될 여지가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진정한 자산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특히 젊은 세대가 새로운 자산 축적 방식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기요사키의 주장은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 접근 방식을 재고하고,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