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기요사키 “비트코인(BTC), 금과 은처럼 장기 보유해야”

[email protected]



로버트 기요사키가 비트코인(BTC)의 장기 보유 전략을 재차 강조하며, 금과 은과 같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점검했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매수한 후, 이를 거래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요사키는 “금, 은, 비트코인을 사고, 거의 팔지 않는다”라며, 시장의 단기 변동에 휘둘리기보다는 자산의 본질적 가치를 믿고 장기적 안목으로 투자하라고 권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그가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는 정부의 부채 확대, 인플레이션 심화, 화폐 가치의 하락과 같은 문제를 언급하며, 법정 통화의 한계를 강조해왔다.

특히 기요사키는 비트코인을 ‘사람들의 돈’이라고 언급하며, 이것이 실질적인 자산 보존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금과 은과 마찬가지로 비트코인도 신뢰 기반이 무너진 금융 시스템 속에서 안전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단기적인 매매 차익을 추구하기보다는 구조적인 재산 보호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추천하고 있다.

이번 발언은 단순한 개인의 투자 성향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기요사키는 자신을 포함한 많은 재정 교육자가 재정 교육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교육과 마케팅은 완전히 다르다”며, 특정 상품을 팔기 위한 조언보다는 본인이 실제로 실행하는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것이 진정한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비트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자산이 아니라, 현금 가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분산 투자 수단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다가올 잠재적 환율 위기나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기요사키가 주장하는 ‘금, 은, 비트코인 삼각축’은 투자자들에게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기요사키는 이번 발언에서 어떤 투자 과정이나 유료 프로그램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는 오로지 자신의 포트폴리오 전략인 “매수 후 보유”라는 간단하면서도 일관된 기준만을 강조했다.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비트코인은 단기 수익을 목표로 하는 투기 수단이 아니라, 신뢰와 시간 위에 쌓이는 장기 자산이라는 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