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비핵심 건축자재사업 부문 매각 추진

[email protected]





롯데케미칼이 최대 1조 원 규모로 평가되는 건축자재사업부 매각을 본격화하며 재무구조 개선작업에 착수했다. 최근 회사채 기한이익상실(EOD)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동성 위기설이 제기되자, 롯데케미칼은 비핵심 사업을 분리하여 매각하는 ‘카브아웃(Carve-out)’ 방식으로 자금을 유치할 계획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국내외 원매자들과 접촉하며 매각을 검토하고 있으며, 주요 사모투자펀드(PEF)와 전략적 투자자(SI)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재무적 어려움에 직면한 롯데케미칼이 기존 화학 산업과의 연관성이 적고, 시장에서 매력적인 사업부를 분리하여 매물로 내놓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 건자재사업은 인조 대리석 브랜드 ‘스타론’, 고순도 천연 석영을 주원료로 하는 ‘래디언스’, 100% 자연 광물 원료 세라믹 소재 브랜드 ‘로셀린’으로 구성된다. 최근 연간 매출은 약 4000억 원,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은 약 8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 업체들은 EBITDA의 10배 수준에서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으므로, 롯데케미칼의 건자재사업부 매각가는 약 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주택경기가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롯데케미칼이 건자재사업부 기업가치를 최대 1조 원까지 기대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건자재 시장은 LX하우시스, KCC, 현대L&C가 주요 선수로 자리 잡고 있으며, 롯데케미칼은 상대적으로 후발 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 매출 기준으로, LX하우시스는 약 2조5000억 원, KCC와 현대L&C 각각 1조 원 내외의 매출을 기록했다. 반면 롯데케미칼은 4000억 원대 매출에 머물러 있다. 특히, 건자재사업은 최근 2~3년 건설경기 악화로 인해 매출이 정체되었으나, 금리 인하와 건설경기 회복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유망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롯데그룹은 이번 건자재사업부 매각을 통해 최근 불거진 유동성 위기설을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3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과잉 공급이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상황 속에 회사채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하면서 롯데그룹에 대한 유동성 우려가 커졌다.

이에 따라 롯데그룹은 롯데쇼핑, 롯데호텔, 롯데케미칼과 같은 핵심 사업부를 제외하고 비핵심 사업부 매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UBS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국내 렌터카 1위 업체인 롯데렌터카의 경영권 지분 약 60.67%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롯데렌탈의 기업가치를 2조5000억 원(지분 100% 기준)을 기준으로 1조 원대 중반에 매각하기를 희망하고 있는데, SK렌터카를 인수한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