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안 채굴풀, 12만 7,426 BTC 해킹 피해 밝혀져…역대 최대 규모 암호화폐 도난 사건

[email protected]



중국의 비트코인(BTC) 채굴풀인 루비안(LuBian)이 2020년에 피해를 입은 해킹 사건에서 약 12만 7,426 BTC가 탈취된 사실이 최근 확인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약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에 해당하는 피해액을 초래했으며, 이는 지금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건 중 가장 큰 규모로 평가되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 기관인 아컴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이 해킹 사건을 4년이 지난 후인 지난 6월 22일, 분석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했다.

루비안은 해킹이 발생한 최초 시점인 2020년 12월 28일에 이미 세계 6위의 비트코인 채굴풀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친 충격은 상당했다. 아컴의 보고서에 따르면, 해커는 루비안의 전체 보유량 중 약 90%에 해당하는 비트코인을 빠르게 이동시켰고, 루비안 측은 그 중 겨우 11,886 BTC만을 복구할 수 있었다.

해킹 사건 당시, 루비안과 해커 모두 이 사실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사건이 은폐된 채로 시장의 주목을 받지 않았다. 아컴 인텔리전스는 이번 분석을 통해 대규모 도난 자산의 이동 경로를 상세히 추적했으며, 블록체인 데이터의 영속성과 최신 분석 기술의 발전 덕분에 사건의 전모가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다크 웹과 비공식 지갑을 통한 자금 세탁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관련 주소들은 현재도 여전히 활동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이번 사건은 블록체인의 투명성이 해킹 이후에도 범죄 행위를 추적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 아컴은 이에 따라 기관 투자자와 채굴 업체들에게 지갑 보안 및 자산 분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최근 발생하는 대형 해킹 사건들이 대부분 내부 보안 허점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안 체계의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경고를 전하고 있다.

이번 사례는 암호화폐 업계가 직면한 보안 위협을 여실히 드러내며, 기업들이 강화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자산 보호 전략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해킹 사건 이후에도 블록체인 기술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더 안전하고 투명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