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대형 석유기업인 루코일이 최근 서방 제재에 대응하여 해외 자산 매각을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기업들이 서방의 제재에 맞서 취한 가장 중요한 조치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루코일은 2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자산 매각이 “몇몇 국가가 제재 조치를 도입함에 따른 결과”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매각은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정리 면허를 기준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OFAC는 미국에서 경제 제재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루코일이 자산 매각과 같은 사업 정리를 일정 기간 동안 시행할 수 있도록 면허를 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자산 매각 발표는 지난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루코일과 로스네프트 등 주요 러시아 석유 기업들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킨 이후 이루어진 것이다. 유럽연합(EU)과 영국 또한 이들 기업의 석유 및 가스 수익을 목표로 하는 전방위적 제재를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압박은 루코일에게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으며, 기업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루코일의 글로벌 석유 생산량은 약 2%로, 이 중에서 가장 주요한 해외 자산은 이라크의 웨스트 쿠르나2 유전으로, 루코일은 이 유전의 75%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루코일은 불가리아의 네프토힘 부르가스 정유소와 루마니아의 메트로텔 정유소 등 주요 자산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들은 제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루코일의 해외 자산 매각은 서방 제재로 인한 기업 운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향후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제재의 여파로 루코일이 매각할 자산과 그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는 러시아 석유업계의 전반적인 상황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