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미국 전역에서 약 700만명이 동시에 참여한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행태에 대한 강한 반발을 드러냈다. 뉴욕 맨해튼 타임스스퀘어에서 시작된 이 시위는 평화로운 행진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 및 민주주의 파괴에 대한 규탄의 소리로 가득 찼다.
시위에 참석한 한 시민은 “트럼프는 우리 사회에 증오를 부추기며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의 퇴진을 요구했다. 시민들은 “우리는 왕이 아닌 민주주의를 원한다”고 외치며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적인 정책에 저항했다. 이 시위는 뉴욕뿐 아니라 워싱턴D.C., 보스턴, 시카고, 로스앤젤레스(LA) 등 2700곳에서 열려 큰 규모의 집회가 이루어졌다. 이 날 뉴욕과 시카고에서 각각 약 10만명, 워싱턴D.C.에서는 20만명이 시위에 나섰다고 알려졌다.
참가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 비판에 나섰으며, 시위대는 ‘이민세관단속국(ICE)=트럼프의 게슈타포’라는 피켓을 들고 나와 ICE가 인권을 탄압하는 상징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 참가자는 “왕관을 쓴 트럼프의 얼굴에 엑스(X) 표시를 하며 ‘노 킹스’라는 구호를 내세웠다. 이는 그가 더 이상 권력을 남용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번 시위를 위해 전역의 공화당 소속 주지사들이 주방위군을 배치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시위는 단 한 건의 폭력 사건도 없이 평화롭게 종료됐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뉴욕에서도 경찰의 아무런 체포 없이 시위가 마무리됐다고 NYPD는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당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논란이 될 만한 동영상을 게시했다. 해당 영상에는 그가 전투복을 입고 ‘킹 트럼프(King Trump)’라는 문구가 적힌 전투기를 타고 시위대 위로 갈색 오물을 투하하는 장면이 담겼다. 이는 시위대를 공적으로 조롱하는 모습으로 해석되어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같은 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왕이 아니다”라는 발언을 하며 셧다운 사태를 이용해 민주당의 예산 삭감을 주장했다. 그는 LA와 시카고를 넘어 샌프란시스코에도 주방위군을 배치하겠다고 예고함으로써, 민주당 지지 지역에 대한 강경 대응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번 시위를 통해 표출된 민심이나 반대 여론과는 거리가 먼 그의 발언은 큰 논란을 야기했다.
이처럼, ‘노 킹스’ 시위는 단순한 반트럼프 집회를 넘어서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명확하게 드러난 사건이었다. 시민들은 한 목소리로 트럼프 대통령의 권위적 정치를 거부하며 민주주의 회복을 염원하고 있다. 마치 민주주의가 생명력을 얻기 위해 다시 일어서는 모습과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