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글로벌 전략의 일환으로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하게 추진하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 주에는 보안 플랫폼 이뮤니파이(Immunef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XRP 레저(XRPL)의 보안을 강화하고, 제도권의 블록체인 서비스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협업은 대출에서 상환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된 크레딧 시스템으로 지원하며, 이는 리플의 장기적인 목표인 전통 금융의 대체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리플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표적인 은행인 앱사(Absa)은행과 협력해 ‘리플 커스터디’라는 디지털 자산 관리 기술을 아프리카 지역에 도입한다. 이로 인해 앱사은행은 암호화폐를 포함한 다양한 토큰화 자산에 대한 수탁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며, 리플은 아프리카 전역에서의 영향력을 확고히 할 전망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리플이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에서 자사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출시한 배경과 맥락을 같이 한다.
한편, XRP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도 다시 한 번 고조되고 있다. 리플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을 마친 이후, XRP의 지지자들은 ETF 승인에 집중하고 있다. 예측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현물형 XRP ETF의 연내 승인이 100%에 가까운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상태로 인해 SEC의 승인 절차가 지연되고 있어 주목된다.
현재 ETF 운용사인 볼래틸리티 셰어스(Volatility Shares)는 XRP를 포함한 복수 자산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 출시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그러나, 트레이더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ETF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일고 있다. 트레이더 스콧 멜커는 이번 주 시장의 급락이 과도한 레버리지 때문이라고 비판하며, 이러한 ETF가 “역대 최악의 아이디어”라고 지적했다.
XRP의 가격은 현재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붕괴로 XRP는 1달러(약 1,390원) 아래로 떨어졌고, 현재도 2.5달러(약 3,475원)를 넘지 못하며 정체 상태다. 특히, 고래 투자자들이 단기간에 22억 개의 XRP를 매도하며 하락 압력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전문가의 전망은 나뉘고 있다. 플랫폼 ERGAG CRYPTO에 따르면, XRP는 쐐기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재 기술적 분석상 상방 돌파 가능성은 57%, 하방 이탈 가능성은 43%로 분석되고 있다. 리플의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파트너십에 그치지 않고, 제도권 금융 내 XRP의 활용 확대와 리플 생태계의 실사용 확대를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ETF 승인 지연 등의 정책 리스크가 향후 XRP의 가격 및 생태계 확장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주의해야 할 요소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