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일본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일본 금융 대기업 SBI홀딩스와 제휴를 체결했다. 이 협력은 RLUSD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자금 이체 인프라를 넘어 기업용 스테이블코인 시장까지 본격적으로 진입하겠다는 리플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협약에 따라 RLUSD는 SBI홀딩스 산하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SBI VC 트레이드를 통해 유통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에 따르면, RLUSD는 2026년 1분기 중 일본에서 정식으로 출시될 계획이다. SBI VC 트레이드는 일본 최초로 전자결제수단거래업(EPI) 인가를 받은 거래소로, RLUSD의 도입을 통해 일본 내 스테이블코인 선택권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SBI VC 트레이드의 대표인 토모히코 콘도는 “RLUSD의 출현은 일본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한층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플과 SBI의 파트너십은 2016년 ‘SBI 리플 아시아’ 설립으로 시작된 연장선으로, RLUSD의 일본 시장 투입은 두 회사의 오랜 관계를 더욱 견고히 하는 계기가 된다. RLUSD는 2025년 12월에 출시됐으며 현재까지 약 6억 6,600만 달러(약 9,267억 원)의 유통량을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약 0.24%에 해당하지만,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아직 RLUSD가 금융기관에만 한정돼 제공될지, 일반 투자자에게도 판매될지에 대한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아 향후 이를 둘러싼 소식에 관심이 모인다. 이 외에도 리플은 최근 제미니 거래소에 최대 1억 5,000만 달러(약 2,085억 원) 규모의 신용한도를 제공하며 미국 증시 상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RLUSD를 통해 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RLUSD의 실제 사용 사례를 확보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호재 속에서도 리플의 거래 토큰인 XRP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에서 XRP는 3.6% 하락한 2.83달러(약 3,934원)로 최근 3주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지난 7월 18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대비 22% 하락했다. 이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8월 14일의 고점 대비 8.5% 하락한 것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현 시장에서는 ‘스팟 ETF 승인 임박’이라는 기대감이나 RLUSD의 확장과 같은 긍정적인 뉴스가 XRP 가격 반등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으며, 단기 투자 심리 회복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RLUSD의 성공적인 일본 시장 진출은 리플 전체 가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제 채택과 유통이 성과를 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