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은 최근 10억 개의 XRP(약 455억 원) 락업 해제를 완료하며, 커뮤니티 내에서 제기된 다양한 우려와 추측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번 해제는 세 건의 거래로 이루어졌으며, 이 모든 거래는 리플의 에스크로 지갑에서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록체인 추적 플랫폼 웨일얼럿(Whale Alert)을 통해 이러한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리플은 매월 정기적으로 일정량의 XRP를 시장에 공급해 왔으며, 이를 온디맨드 유동성(ODL) 운영이나 파트너십 구축, 인수, 생태계 확장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 왔다. 통상적인 해제량은 10억 개 중 2억 개에서 3억 5,000만 개 정도가 사용되며, 사용하지 않은 잔여량은 다시 에스크로 계약으로 돌아간다.
리플은 2018년 1월부터 매월 1일 10억 개의 XRP를 정기적으로 공급해왔으나, 2025년부터는 공급 일정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특히, 올해 3월부터는 기존 보유량을 바탕으로 새로운 에스크로를 설정한 후, 해제 시점이 늦춰지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8월의 해제도 그러한 ‘지연형 해제’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8월 초에는 신규 토큰 배포가 한동안 이루어지지 않아, XRP 커뮤니티 내에서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해제 없이 지나가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 사용자들은 “갑작스러운 해제 중단은 불필요한 추측을 낳는다”며 신중한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리플의 XRP 공급 관리 전략은 그동안 시장 가격의 변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여겨져 왔다. XRP스캔(XRPscan)에 따르면, 현재 XRP 레저 상에는 약 356억 개의 XRP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번 해제로 인해 시장 안정성과 생태계 성장 간의 균형을 리플이 어떻게 조율해 나갈지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리플의 전략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그로 인해 XRP의 시장 반응이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리플의 공급 방식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검토의 대상이 될 것이며, 커뮤니티의 의견 역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