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Ripple)이 9월 첫 날, 대규모 XRP 이체를 실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거래는 매월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에스크로 해제 일정에 따른 것으로, 총 10억 XRP 중 3억 XRP가 실제로 순수하게 시장에 풀릴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블록체인 추적 서비스인 웨일얼러트(Whale Alert)에 따르면, 리플은 우선 5억 XRP(한화 약 1조 3,820억 원)를 자사 지갑으로 이전했다. 그 후 3억 XRP(약 8,300억 원), 2억 XRP(약 5,530억 원)도 연달아 해제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시장에 유통될 XRP 물량은 이보다 적다.
리플은 즉시 이 중 7억 XRP를 다시 에스크로에 잠금 처리했다. 4억 XRP(약 1조 1,040억 원)와 3억 XRP(약 8,280억 원)를 잠금함으로써, 이번 달 순수하게 유통 가능한 XRP는 3억 개로, 시가로는 약 8,300억 원에 해당한다. 이는 리플의 전형적인 유동성 관리 방식으로, 초과 공급에 따른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리플의 에스크로 시스템은 XRP의 순환량을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목적에서 도입되었다. 매달 10억 XRP가 에스크로에서 해제되며, 사용되지 않은 물량은 다시 잠김 처리된다. 현재까지 약 356억 XRP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번 거래가 XRP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다. 유통 물량의 증가가 가격에 하방 압력을 줄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물량을 다시 에스크로로 보내 유통량을 제한했기 때문에 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이번처럼 3억 XRP만이 실제 유통 물량으로 남는 경우는 공급 압력을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해제는 단기 유동성 공급과 장기적인 가격 안정을 동시에 고려한 리플의 균형 전략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체계적인 공급 설계는 향후 XRP 시장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