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가 XRP의 분기(fork)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그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구조적 특성을 설명하며 이론적으로 XRP 원장이 분기될 수는 있지만, 실제로는 그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슈워츠의 설명에 따르면, 퍼블릭 네트워크는 참여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언제든지 분기할 수 있으나, 시장은 일반적으로 더 강력한 체계에 가치를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시도는 본질적으로 ‘예비 수단’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포크를 혁신의 경로라기보다는 ‘체계적 충돌 시의 탈출구’로 정의하며, 향후 XRP 원장에서도 참여자 간 큰 이견이 발생할 경우 분기 가능성이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이 현실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덧붙였다. 슈워츠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가장 큰 장점은 중앙 플랫폼과는 달리 반대 세력에게도 자율 운영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XRP 생태계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인 Aave가 릴리즈한 기관 투자자 대상의 새로운 플랫폼 ‘호라이즌(Horizon)’에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가 핵심 담보 자산으로 채택되었다. 아베 랩스는 전통 금융과 탈중앙 금융의 융합을 실험하고 있는 이 플랫폼에서 RLUSD를 주요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RLUSD는 규제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된 스테이블코인으로, 호라이즌의 스마트 계약 시스템 전반에 통합되며 효율적인 온체인 금융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플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총괄 리스 메릭은 “호라이즌 내 RLUSD의 채택은 리플의 기술이 실제 금융 환경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라고 반겼다. 플랫폼 개시 당일 RLUSD로 약 5,470만 달러(약 760억 원)의 유동성이 공급됐고, 이후 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부문 부사장 잭 맥도널드는 RLUSD의 시장 확장 속도를 두고 “폭발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카르다노(ADA)도 장기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며 새로운 기술적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카르다노 거래쌍(ADA/USDT)은 중단기 이동평균 지표(MA9와 MA26)가 교차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른바 ‘골든 크로스’ 조건이 충족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재 ADA는 0.8683달러(약 1,208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단기 목표가는 0.90달러(약 1,251원)로 설정되고 있다. 지속적인 매수세가 이어진다면, 조만간 중요한 기술적 저항선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리플과 카르다노, 그리고 Aave 플랫폼에서의 RLUSD 채택까지 이어지는 이번 일련의 마켓 동향은 블록체인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며 보다 전략적인 생태계 통합을 모색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최종적으로 슈워츠의 발언처럼, 시장은 내재 가치와 참여자들의 신뢰가 집중된 생태계를 선택할 것이며, 이러한 선택들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