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TO, “XRPL 구조로 해킹 위험 본질적으로 제거 가능”

[email protected]



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는 최근 발생한 탈중앙화금융(DeFi) 프로젝트인 밸런서의 해킹 사건을 계기로, 리플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 레저(XRPL)의 구조에 대해 심도 깊은 설명을 제공했다. 이번 사건은 1억 2,000만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초래했으며, 이를 통해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XRPL 커뮤니티는 XRPL이 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설계 원칙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슈워츠는 XRPL의 검증인(Validators)이 트랜잭션으로 수익을 창출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들이 모든 노드가 동일한 거래 순서를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만 한다고 설명했다. XRPL은 ‘더블 스펜딩(double spend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관된 거래 순서를 보장하는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중개자나 수익을 유도하는 요소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슈워츠의 설명에 따르면,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과 같은 전통적인 블록체인은 채굴자나 지분 보유자가 블록에 거래를 포함시키며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XRPL은 그러한 시스템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는 “모든 노드는 어떤 거래가 유효한지를 알고 있으며, 검증자는 단지 어떤 거래가 원장에 언제 기록될지를 결정할 뿐”이라며 XRPL의 검증자가 중개자가 아닌 ‘동기화 장치’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설계는 보상 유인을 기반으로 한 입찰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음으로써 장기적으로 네트워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슈워츠는 강조했다. 수학적인 합의 방식에 따라 거래가 확정되는 XRPL의 구조는 게임화된 보상 모델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슈워츠는 또한 XRPL이 스마트컨트랙트와 같은 복잡한 기능 없이도 논리적 순서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직면해 있는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조적 강점이라고 말했다. XRPL이 단순화된 구조 안에서 신뢰가 아닌 수학적 논리에 의존한다는 점은 스마트컨트랙트와 채굴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네트워크들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설명은 XRPL이 여전히 ‘중개자 없는 신뢰 네트워크’로서 견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반영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번 해명은 리플의 XRPL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블록체인 기술이 불안정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슈워츠 CTO의 주장은 XRPL의 독창적인 구조가 해킹 위험을 본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주가는 더 널리 인정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