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미국 최초의 XRP 상장지수펀드(ETF)와 스테이블코인 RLUSD를 동시에 공개하며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 두 금융 상품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통해 XRP의 유동성과 사용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옐로우 네트워크의 CEO인 알렉시스 시르키아는 크립토포테이토와의 인터뷰에서 XRP 생태계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RLUSD는 XRP의 직접적인 경쟁자가 아니다. 오히려 XRP의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두 제품의 결합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RLUSD는 미국의 규제를 준수하는 정산 수단으로 자리잡으며 점차 기관의 채택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XRP의 브릿지 자산으로서의 수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RLUSD는 아프리카 시장에서 치퍼캐시와 옐로우카드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현실 자산과의 실시간 전환에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실물 자산과의 연결을 강화하는 가운데 XRP는 그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양측이 협력하여 XRP의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또한 최근에 출시된 미국 최초의 XRP ETF, 즉 레츠-오스프리 XRP ETF(XRPR)와 프로셰어 울트라 XRP ETF는 리플을 둘러싼 투자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ETF들은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규제 당국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시르키아는 “이제 XRP는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글로벌 결제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XRP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XRPL 기반의 하루 평균 결제 건수는 지난 9월 동안 22만 3,000건으로 급감했으며, 활성 지갑 주소 수는 6월의 58만 개에서 3만 1,000개로 감소했다. 또한 대규모 투자자들의 매도와 시세 하락으로 인해 XRP 가격은 3달러 선 이하로 하락한 상태다. 하지만, 시르키아는 이러한 현상이 리플 생태계의 구조적인 문제라기보다 전체 알트코인 시장의 주기적 조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기술적 기반이 견고하다면, 유동성과 사용도 다시 회복될 것”이라며, ETF와 RLUSD와 같은 기관 중심의 인프라 확장이 XRP 거버넌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르키아가 이끄는 옐로우 네트워크는 리플의 공동 창립자인 크리스 라센의 지원을 받는 레이어3 기반 프로토콜로, 탈중앙화 금융(DeF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발자 도구와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고성능 디앱 생태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리플의 전략적인 행보는 XRP 거래 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XRP가 다시 글로벌 디지털 금융의 핵심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