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법적 갈등이 임박한 합의에 접어들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2020년 12월에 시작된 XRP의 유가증권성 논란은 다양한 판결과 합의가 잇따르며 마무리 단계에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 2023년 미국 연방 판사 아날리사 토레스의 판결로 XRP의 2차 시장 거래가 유가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판결 이후 리플은 교차 항소를 철회했으며, SEC는 항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미국 변호사 빌 모건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SEC가 오는 8월 15일까지 항소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알리며, 최종 합의 가능성을 내비쳤다. 원래 SEC는 리플에 대해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의 벌금을 요구했으나, 최종 판결 결과가 1억 2,500만 달러(약 1,738억 원)로 감소했다. 이후 SEC와 리플은 약 5,000만 달러(약 695억 원)의 합의금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송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는 지난해 12월 출시 이후 빠르게 시가총액을 확장하며 두바이금융청(DFSA)에서 공식 암호화폐로 인정받았다. 최근 RLUSD의 시가총액은 약 5억 7,760만 달러(약 8,026억 원)에 달하며, BNY 멜론의 수탁 서비스 제공 확정으로 기관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XRP ETF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선물 기반 XRP ETF만 존재하지만, 여러 자산운용사들이 현물 XRP ETF 출시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있다. 예측 시장 폴리마켓에 따르면 연말 이전에 이들 ETF가 승인될 확률은 87%에 이르는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XRP의 가격은 3.65달러의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후 일부 조정을 거쳐 현재 약 3.08달러(약 4,285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와 함께 대형 투자자들이 24시간 동안 6,000만 XRP를 매집한 결과, 거래소 보유량이 감소해 매도 압력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7월 21일 기준으로 XRP를 보유한 지갑 수는 720만 개를 넘었으며, 이는 더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규제 리스크가 줄어들고 있으며, RLUSD와 ETF 같은 혁신이 같은 시기에 부각되고 있어 XRP 시장은 다시 한번 상승할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리플의 미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