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의 암호화폐 XRP가 현재 기술적 불확실성과 고래들의 매도세라는 이중 악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고래 지갑에서 빠져나가는 XRP 물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가격 고점 형성을 나타내는 전조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가들이 경고하고 있다.
가명 분석가 ‘Enigma Trader’는 크립토퀀트 데이터를 통해 XRP의 90일 평균 고래 흐름 지표가 심각하게 음수 영역으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 지표는 대규모 지갑에서의 순유입과 순유출을 반영하며, 현재 대부분의 고래들이 XRP를 매도하고 있어 시장 구조가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고래들의 지속적인 누적이 없으면 XRP 시장은 근본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XRP의 거래 가격은 약 3.30달러(한화 약 4,587원)이다. 지난 7월 한 달 동안 XRP는 70% 이상의 급등을 기록하며 3.40달러(한화 약 4,726원)까지 올랐으나, 가격 조정과 함께 다시 매수세가 약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격 상승이 단기 매수 심리를 촉발하는 ‘불 트랩’에 지나지 않는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7월 24일 이후 XRP의 거래소 보유량은 30억 2,000만 개에서 23억 개로 대폭 감소했다.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XRP를 장기 보유하기 위해 거래소에서 출금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래들의 누적 움직임이 정체된 만큼, 이러한 유통량 감소는 단기적인 매입보다는 고래를 통한 대량 분산의 결과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네트워크 가치 대비 거래량 비율(NVT)이 하루 만에 44% 상승했다는 사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NVT 지표는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을 네트워크 사용량으로 나눈 것으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실제 이용에 비해 과대평가될 위험이 커진다. 현재 XRP는 NVT 지표 급등과 고래 매도가 동시에 발생하며 피로감이 누적되는 장세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인 요소로는 최근 한국의 제도권 수탁업체 BDACS가 XRP 커스터디 서비스를 도입한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은 XRP 보유량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제도권을 통한 접근 확대는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XRP는 현재 3.30달러 선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고민에 처해 있다. 고래들의 매도세가 지속된다면 가격 조정폭이 깊어질 수 있지만, 제도권 접근성과 일부 투자자의 강한 보유력은 방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수일 내 고래의 재매집 여부가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을 가늠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