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플의 공공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 레저(XRPL)의 디파이 생태계에서 최근 눈에 띄는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인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XRPL의 총 예치 자산 규모(TVL)는 최근 10% 상승해 약 1억 376만 달러(약 1,44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기관투자자들의 추가 유입과 XRPL의 안정적인 인프라가 맞물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달 초 XRPL의 TVL은 약 9,395만 달러(약 1,307억 원)에 불과했으나, 최근 10일간 기업들의 활용도가 급증하면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으로 더 많은 유동성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기관들이 XRPL을 거래 수수료가 낮고 기술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유동성 증가 현상은 단순한 수치 변화에 그치지 않고, 리플이 추진 중인 기술적 업그레이드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최근 리플의 엔지니어 팀은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려는 다양한 개선안을 공유하며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받고 있다. 이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능이 바로 ‘XLS-86’이라는 명칭의 방화벽 기능이다. 이 기능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에 시간 및 금액 한도를 설정하도록 하여 자금 탈취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XLS-86 방화벽 기능은 향후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정식 채택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 기능이 도입된다면 XRP 및 NFT 자산을 사기와 해킹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논의는 커뮤니티 전체의 활성화를 촉진하며, XRPL 생태계의 장기적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이번 TVL 상승은 리플 생태계가 단순 송금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디파이 시장에서도 확고한 입지를 확립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 확보, 기술적 안정성의 강화, 커뮤니티 주도의 발전 구조가 삼박자를 이루며 XRPL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리플의 디파이 생태계가 이처럼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얽혀 있으며, 앞으로의 발전이 더욱 기대되는 시점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