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디파이 생태계 위축, AMM 락업 물량 감소

[email protected]



리플(XRP)의 디파이(DeFi) 생태계가 최근 위축되며 성장 정체를 보이고 있다. 2023년 8월 28일 기준으로, 자동화 마켓메이커(AMM) 풀에 락업된 토큰의 수가 약 1,172만 9,984개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한때 1,400만 개에 달했던 락업 물량이 4개월 만에 크게 줄어들었고, 이는 현재 시세 기준으로 약 878억 원에 해당한다. 이런 물량 감소는 투자자들의 신뢰가 약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AMM의 락업 감소와 함께 XRPL(리플 원장)에 등록된 총 거래쌍 수는 1만 9,953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신규 풀 추가는 제한적이다. 8월 28일 기준으로 활성화된 AMM 풀은 2만 2,053개로 집계되지만, 전체 락업 규모의 감소를 상쇄하기엔 한계가 있다. 이는 불안정한 시장 여건과 최근 가격의 횡보세가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회수하도록 유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최근 XRP는 뚜렷한 상승 모멘텀 없이 3달러대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이는 디파이 플랫폼에 참여할 유인을 약화시키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본의 지속적인 유출이 XRPL 내 주요 프로토콜의 성장성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otal Value Locked(TVL) 기준으로 XRPL 내 디파이 자산 규모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디파이 전문 분석 플랫폼인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8월 28일 기준 XRPL의 TVL은 9,947만 달러(약 1,384억 원)로 변동이 없었다. 특히 XRPL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기여도가 두드러져 TVL의 약 8,000만 달러(약 1,112억 원)를 차지하며 여전히 주요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스테이블코인 시장만은 소폭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XRPL 내 스테이블코인의 총 시가총액이 한 주 사이 2.2% 증가하여 1억 6,808만 달러(약 2,337억 원)에 달했다. 이는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실물 자산 기반 토큰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현재 XRP 기반 생태계가 ‘자산 유지’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면서, 명확한 가격 반등이나 신규 파트너십이 없다면 유동성 회복에는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리플의 미래 전략적 조정과 신속한 생태계 확장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