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매수 부재와 매도 압력 속에서 ETF 승인 여부가 향후 반등의 관건으로 부각

[email protected]



리플(XRP)이 현재 매수세가 전무한 상황에서 극심한 매도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는 향후 XRP의 행보에 대한 심각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시장의 기술적 지표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여부가 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좌우할 주요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30일 기준 XRP는 2.85달러(약 3,962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거래량은 놀랍게도 48억 4,000만 달러(약 6조 7,276억 원)에 달하고 있다. 비록 단기적으로 가격 하락폭은 크지 않지만, 매수 주문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거래량이 매도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점은 상당히 우려스럽다.

암호화폐 분석가 EGRAG CRYPTO는 최근 15분봉 XRP/USD 차트를 분석하며 수요 없이 투매가 발생한 이례적인 현상을 강조했다. 공개된 차트에 따르면, 특정 시간대의 매도량은 3만 7,560건에 달했으나, 매수량은 0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달러 대비 XRP 가격이 2.91달러(약 4,049원)에서 2.85달러(약 3,962원)로 하락하며,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가 매도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기술 지표는 단기 이동 평균선을 하향 돌파했고, 수급 심리 또한 -5.00%로 떨어지며 하방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부 투자 커뮤니티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조작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CRYPTOWZRD는 XRP의 일일 캔들이 다소 강세로 마감했으나, 비트코인(BTC)의 시장 점유율 상승과 연계되어 XRP/BTC 페어는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XRP가 삼각수렴 패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의 지배력 방향성이 핵심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주요 저항 수준은 3.15달러(약 4,379원)와 3.65달러(약 5,073원), 지지선은 2.75달러(약 3,823원)로 설정되고 있다.

XRP의 가격이 2.8850달러를 초과할 경우에는 3.01달러(약 4,184원)까지 기술적인 상승이 가능하지만, 이 가격대를 하회할 경우 안정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의 움직임에 따라 향후 거래 흐름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유동성 측면에서도 코잉글래스(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3달러(약 4,170원) 이하의 가격대에서 유동성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2.50~2.00달러(약 3,475~2,780원) 구간에 대기 매수 주문이 밀집되어 있어, 가격 하락 가능성을 암시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종 하락이 임박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부 고래 투자자들은 조용히 XRP를 매집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 CryptoPotato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72시간 동안 1,000만~1억 개의 XRP를 보유한 지갑들이 총 1억 2,000만 개 이상의 XRP를 추가 매수한 증거가 확인되었다. 이는 단기 하락세 속에서도 보다 전략적인 포지셔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미국 규제 당국은 복수의 XRP 현물 ETF 신청안을 검토 중이며, 특히 그레이스케일의 신청안은 10월 18일에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신청안들은 11월 중순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 ETF 승인 여부는 향후 매수세 회복 및 가격 반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리플(XRP)이 현재의 ‘무매수-과매도’ 국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