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생태계에 새롭고 수익성 높은 ‘mXRP’ 토큰 출시…최대 10% APY 제공

[email protected]



리플(XRP) 생태계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이 등장했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미다스와 인터롭랩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mXRP’라는 수익형 토큰은 전통적인 XRP 레저(XRPL)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디파이(DeFi) 확장성을 목표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 네트워크에서 운영된다. 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일부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크로스체인 인프라 플랫폼인 엑셀라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며, XRP 보유자들이 이 네트워크를 통해 XRP를 mXRP로 전환하고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과정은 감사된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하여, 연 최대 수익률(APY)을 10%로 목표하고 있다. 사용자는 보유 중인 XRP를 담보로 하여 mXRP를 발행받고, 이를 통해 다양한 디파이 수익 전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mXRP는 지난 9월 21일 서울에서 열린 ‘XRP 서울 2025’ 컨퍼런스에서 정식으로 발표되었으며, 이 자리에서는 리플랩스와 엑셀라의 협력을 통해 XRPL 기반 실물자산(RWA) 토큰화에 대한 내용도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미다스는 구조적인 개발을 담당하고, 인터롭랩스는 기술적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수익 구조는 XRP 생태계에 혁신적인 실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나, 동시에 일부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타 프로토콜에서 XRP를 활용하는 것이 오히려 핵심 생태계인 XRPL로부터 유동성과 개발 자원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익명의 XRPL 밸리데이터 ‘Vet’은 “이 구조는 유동성을 XRPL 외부로 유출시킨다”며 “최종적으로 우리는 디파이 속 비트코인 같은 위치가 되고 싶어 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거버넌스, 유동성 및 확장성 모두에서 XRPL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XRP를 브릿지 자산으로 활용하여 XRPL 내 탈중앙화 거래소(DEX)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장기적인 이익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한편, XRP를 기반으로 한 수익 모델의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플레어(Flare) 네트워크에서 이미 XRP 예치 기반의 수익 상품과 스테이블코인 대출 상품이 출시된 바 있다. 이번 mXRP의 발표는 이런 흐름 속에서 더 많은 파트너들이 XRP 통화의 유틸리티 확대에 나서는 시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XRP 생태계는 현재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리스크와 기회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실험들이 XRPL과 XRP 토큰의 역할을 어떻게 재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는 커뮤니티와 사용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