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소송 종결 직후 코인베이스에서 772억 원 규모의 대규모 이동 발생

[email protected]



리플(XRP)의 대규모 거래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장기 소송이 마무리된 직후 코인베이스($COIN)에서 발생했다. 거래 추적 플랫폼의 자료에 따르면, 8월 8일 오전 약 5,546만 달러(약 772억 원) 규모의 XRP 1,668만 개가 코인베이스의 콜드월렛에서 주요 운영 지갑으로 이동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이동은 리플과 SEC 간의 상호 항소 철회가 이루어진 직후 발생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거래는 최근 몇 달간의 XRP 이체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소송 종료와 관련된 중대한 뉴스와 거의 동시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 거래가 외부 지갑이 아닌 코인베이스 내의 지갑 간 이동으로 확인되면서, 단순한 매도가 아니라 유동성 재배치 차원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현재 코인베이스는 29개 이상의 유사한 콜드월렛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지갑에는 약 1,650만 개의 XRP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인베이스는 이번 대규모 이동과 관련하여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과거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내부 유동성을 이동한 후 XRP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사례가 있다. 특히 XRP는 이 사건 전후로 3.38달러(약 4,697원)까지 상승하며 한 주간의 횡보세를 깨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SEC와 리플 간의 최종 합의 영향뿐 아니라, 대형 거래소의 내부 움직임도 가격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2023년 7월에는 판사 아날리사 토레스가 XRP에 대한 판결을 내렸으며, 일반 거래소 및 시장에서의 매매는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기관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은 미등록 증권 판매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 이후 양측은 항소를 예고했으나, 이달 초 서로의 항소를 철회하면서 재판부의 판단이 확정되었고 추가 소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이번 사건은 XRP 생태계에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규제 리스크가 해소되었다는 안도감과 더불어, 주요 거래소의 내부 구조 조정 신호가 결합하여 시장 심리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는 이와 같은 움직임이 단기 차익 실현으로 이어질 것인지, 아니면 대형 판결 이후의 상승 랠리를 촉진할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