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1월 13일, 미국 최초의 리플(XRP)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대조적으로 XRP의 고래 보유자들이 대규모로 매도에 나서며 시장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ETF는 캐너리 캐피털(Canary Capital)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100% 리플 토큰으로 구성된 ‘순수 플레이(Pure-play)’ ETF로 주목받고 있다. 캐너리는 나스닥에 필수 문서인 Form 8-A를 제출하며 ETF 상장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 블룸버그의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치우나스에 따르면, 캐너리는 상장 준비를 거의 완료했지만 최종 승인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와 함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여러 차례에 걸친 XRP ETF 신청 결정 연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미국 정부의 셧다운 사태와 관련하여 일부 발행사들이 SEC의 개입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캐너리는 특별히 연기 조항을 삭제하며 상장 의지를 드러냈으며, 이로 인해 빠르면 11월 13일(현지시간) ETF가 상장될 가능성이 열렸다.
엘레노어 테렛 폭스비즈 기자는 이번 ETF가 “수요일 오후 5시 30분(미 동부시간)에 효력이 발생하여 목요일 개장과 함께 거래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또한, 해당 ETF는 최근 출시된 REX-오스프리(REX-Osprey)의 XRP ETF에 비해 순수 XRP 비중이 높고, 세금 측면에서도 더 유리한 구조라고 밝혔다.
한편, 리플 고래들의 매도 행태는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에 따르면 최근 72시간 동안 고래들은 약 9,000만 개의 XRP를 매도했다. 이는 이전 5일간 90만 개 매도와 비교해도 현저히 큰 규모로, 일부 투자자들은 이들이 ‘루머에 사고, 뉴스에 판다’는 전형적인 매매 패턴을 따르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XRP는 지난 대선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 1월 3.40달러(약 3,400원) 및 7월 사상 최고가인 3.65달러(약 3,650원)를 기록했으며, 고래들의 매수세가 이 상승에 중요한 원동력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대규모 매도가 미칠 영향을 두고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리플의 ETF 상장은 제도권 진입과 더불어 추가 자금 유입 기대를 모으고 있으나, 대규모 매도세가 지속될 경우 단기적인 가격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11월 13일 ETF 출시에 대한 확정 여부와 그에 따른 실제 반응을 주의 깊게 지켜볼 예정이다.






